본문 바로가기
  •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설명하는 알기 쉬운, 도움이 되는 의학 지식

분류 전체보기23

염증성 장질환 (IBD) 염증성 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Crohn's Disease (CD) Ulcerative Colitis (UC) 항문주위 누공, 구강 궤양 내시경) 자갈모양(cobblestone) 점막, aphthous ulcer, linear ulcer, 비대칭성, 비연속성 병변 (skipped area) 대장 내시경) Crypt abscess, 점막에만 국한된 병변 연속성 병변, 표재 염증 ANCA (20%), ASCA (55%) ANCA (65%), ASCA (5%) 경증 치료 : mesalamine (5-ASA) 중등/중증 치료 : 스테로이드 스테로이드 저항성 : MTX, infliximab, adalimumab 관해유지 : azathioprine, 6-MP 경증 치료 .. 2021. 3. 1.
유전 대사 질환의 종류와 감별, 치료 신생아가 출생하여 기본적으로 받는 검사 중에 청력검사와 대사이상선별검사가 있다. 생후 48~72시간 혹은 수유시작 후 24시간 지난 후 채혈을 하며 늦어도 생후 7일 이내에는 검사를 시행한다. 국가에서 모든 신생아를 대상으로 선별검사를 무료로 시행하고 있다. 조기에 질환을 발견하여 치료하고 합병증과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입되었다. 유전 대사 질환이란 유전 대사 질환은 inborn errors of metabolism이라는 개념으로 20세기 초 Garrod에 의해 정립되었다. 우리 몸이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몸속의 효소, 수용체, 수송 단백, 세포막, 구조 단백 등 다양한 단백이 자신의 역할을 해야 한다. 마치 분업하는 것처럼 자신이 맡은 일을 해야 유기적으로 돌아가도록 되어있다. 특정 유전자는 .. 2021. 2. 28.
소아의 치아 발생 순서와 선천치 치아 발달 시기 유치 유치는 총 20개이며 신생아는 태어날 때 이가 없이 태어나서 6개월쯤부터 앞니가 나오기 시작하며 유치별로 나오는 순서와 시기가 있다. 입 안을 상하좌우로 나눠서 각각 5개이며 내절치, 외절치, 제1대구치, 견치, 제2대구치 순서대로 나온다. (그림참조) 보통 유치의 수는 아이의 월령에서 6을 뺀 수[유치의 수 = 월령 - 6]라고 생각하면 쉬운데, 예를 들어 12개월의 아이라면 12개월에서 6을 뺀 수인 6개의 유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유치가 모두 나는 시기는 약 생후 30개월이다. 하지만 아이별로 이가 나오는 시기가 상당한 차이가 있어서 어떤 아이의 경우 태어날 때 이가 있는 경우도 있고 어떤 아이는 돌이 되어야 첫 유치가 나오기도 한다. 또래 아이들보다 이가 늦게 .. 2021. 2. 27.
소아 성장, 우리 아이 잘 크고 있나? 정상 키, 몸무게, 두위 소아가 성인과 다른 가장 특징 중 하나를 꼽자면 소아는 '성장'과 '발달'을 한다는 것이다. 아이들의 개별적인 발육 과정은 유전뿐 아니라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게 된다. 유전적으로 황인종이 백인종보다 작으며 부모의 키에 따라서도 아이의 키가 달라지고 남아와 여아의 차이도 존재한다. 환경적 요인에는 식사와 주거 환경, 질병 등이 있다. 소아 성장 아이의 성장을 보는 지표는 키와 몸무게, 머리둘레 등 여러 가지이며 측정한 지표를 정상분포 곡선과 백분위수로 보게 된다. 백분위수는 작은수치부터 큰 수치 순서로 나열했을 때 가장 작은 수치를 1백분위수로, 가장 큰 수치를 100백분위수로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 아이 키가 70백분위수라면 아이와 같은 나이의 아이들 100명을 작은아이부터 쭉 세웠을 때 .. 2021. 2. 26.
영유아 건강검진 검사 시기, 검사 항목 영유아 건강검진 :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건강검진 대상 : 생후 4개월 ~ 71개월 까지의 영유아 횟수 : 총 7번 방법 : 인터넷으로 문진표 미리 작성 (혹은 내원하여 작성), 아가와 직접 내원 가격 : 무료 결과 : 검진완료 후 보호자에게 직접 통보 ​ 1차 영유아 검진 - 생후 4~6개월 - 키와 몸무게, 머리둘레 측정 - 발달을 따로 평가하는 항목이 있지는 않다. 하지만 다른 차수에 비해 신체검진을 꼼꼼하게. - 이때의 아가들은 보통 기저귀까지 다 벗겨서 전신진찰을 하기 때문에 탈의가 어려운 옷을 이쁘게 입고온 경우에는 진찰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간혹 있다. - 이유식 : 5개월~6개월 사이에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 - 밤중 수유 : 교과서 상에서는 2~4개월이 되면 밤중 수유 횟수가 줄어.. 2021. 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