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설명하는 알기 쉬운, 도움이 되는 의학 지식
소아

소아 성장, 우리 아이 잘 크고 있나? 정상 키, 몸무게, 두위

by little-pediatrician 2021. 2. 26.
반응형

소아가 성인과 다른 가장 특징 중 하나를 꼽자면 소아는 '성장'과 '발달'을 한다는 것이다.

아이들의 개별적인 발육 과정은 유전뿐 아니라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게 된다. 유전적으로 황인종이 백인종보다 작으며 부모의 키에 따라서도 아이의 키가 달라지고 남아와 여아의 차이도 존재한다. 환경적 요인에는 식사와 주거 환경, 질병 등이 있다.

 

소아 성장

아이의 성장을 보는 지표는 키와 몸무게, 머리둘레 등 여러 가지이며 측정한 지표를 정상분포 곡선백분위수로 보게 된다. 백분위수는 작은수치부터 큰 수치 순서로 나열했을 때 가장 작은 수치를 1백분위수로, 가장 큰 수치를 100백분위수로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 아이 키가 70백분위수라면 아이와 같은 나이의 아이들 100명을 작은아이부터 쭉 세웠을 때 앞에서 70번째로 큰 것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하는 성장도표 계산기를 이용하면 아이의 현재 성장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8/sub08_04.do

 

성장도표 계산기 |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성별: 연령: 이 표는 성장도표 측정 계산기의 결과값이 나오는 테이블로 키, 신체계측치, 백분위수, 판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키 신체계측치  cm 백분위수   판정   성장도표 이 표는 성장도

knhanes.kdca.go.kr

 

성장장애와 저신장

저신장은 같은 연령, 같은 성별 아이의 평균 신장보다 3백분위수 미만인 경우 (또는 -2 표준편차) 미만인 경우로 정의한다. 

하지만 아이의 키, 몸무게가 작다고 무조건 성장 장애라고 하지 않는다. 성장장애는 아이의 연령과 성별을 고려해서 성장속도가 낮거나, 키 성장곡선 상 백분위수 곡선의 두 선 이상을 가로질러 하향하는 것을 말한다.

저신장을 평가할 때는 키 백분위수, 지난 6개월 또는 1년간의 성장속도, 중간 부모 키(MPH, midparental height)를 확인한다. 그리고 임상적 소견을 더해 저신장을 평가하고 성장호르몬 혹은 기저질환 치료를 계획하게 된다.

중간부모 키는 남아와 여아에서 다르게 계산한다. 남아의 경우 [(아빠키 + 엄마키 + 13) / 2], 여아의 경우 [(아빠키 + 엄마키 - 13) / 2]의 공식으로 구한다.

 

키, 몸무게, 두위의 성장

정상주수 출생한 경우 출생 시의 평균 키는 약 50cm, 몸무게는 3.3kg, 두위는 34cm이다.

는 생후 6개월 간 약 17cm 정도 자라고 다음 6개월 간 약 8cm 자라게 된다. 4세 정도가 되면 출생 시 키의 약 2배가 된다.

 

몸무게는 출생 시 평균은 3.3kg지만 2.6~4.4kg정도면 정상범위에 속한다. 둘째나 셋째 아이는 첫아이보다 무거운 경우가 많다. 출생 후 체중이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보통 신생아의 경우에 생후 3~4일 동안은 초기 체중감소 5~10% 정도가 발생한다. 양수에 있던 아가가 세상 밖에 나와서 적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 중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 태어나서 발생하는 소변과 태변 배설, 폐와 피부로부터 발생하는 수분 손실, 초기 수유량의 부족이 원인이 되며 생후 7~10일 째가 되면 회복된다. 생후 3개월이 되면 출생체중의 2배가 되고 10년이 되면 10 배가 된다.

 

두위는 소두증과 뇌수종 등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며 출생 시 가슴둘레보다 머리둘레가 1cm가량 크다. 출생 시 약 34cm이며 1세가 되면 약 46cm이 되고 4세가 되면 성장이 완료되었을 때의 약 90%에 달한다. 

아이 두개골은 성인과 다르게 뼈가 다 붙지 않은 상태인데, 뼈 조각들이 붙지 않아 가지고 있는 숫구멍과 봉합선은 위치마다 붙는 시기가 다르다. 생후 6~8주에 뒤숫구멍 (posterior fontanel)이 닫히고, 14~18개월 경에 앞숫구멍(anterior fontanel)이 닫힌다. 아이에 따라다를 수 있고 정상아에서 생후 2년이 지나야 닫히는 경우도 있다. 봉합선은 6~8개월 경 닫힌다.

 

  출생 3개월 1세 2세 4세 12세
키 (cm) 50   75 (1.5배) 85 100 (2배) 150 (3배)
몸무게 (kg) 3.3 6.6 (2배) 10 (3배) 13 (4배) 16 (5배) 40 (12배)
두위 (cm) 34   46 (= 흉위)   50  
중심점 배꼽 위 2cm     배꼽 약간
아래에서 1:1
  치골결합에서 1:1
상하절 비 1.7
(얼굴이 1/4)
    1.4   1.0

 

  • 2세의 키 : 성인기의 1/2배
  • 4세의 두위 : 성인기의 80~90% (장기별 성장 곡선에서 신경계 발달 곡선과 일치)
  • 상하절 나누는 기준 : symphysis pubis 치골결합
  • 신생아는 출생 후 약 3~4일 동안 초기체중의 5~10%가 감소하였다가 다시 체중이 늘게 된다.
  • 생후 0~3개월 동안 하루에 30g씩 증가하고, 생후 6~12개월 동안 하루에 15~20g씩 증가한다.

 

소아의 성장 지표
건강한 신생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