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이란
신생아 일과성 빠른 호흡은 폐포액의 흡수가 지연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신생아들이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게 되는 흔한 이유 중 하나이다. 보통 48~72시간 이내에 좋아지는 질환이지만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B군 사슬알균(GBS) 폐렴 등의 중환 질환들과의 감별질환이 중요하기 때문에 간과해서는 안된다.
폐포는 폐 속에 있는 작은 공기주머니로, 산소를 몸으로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내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엄마 뱃속에서 양수속에 있던 아이가 출산 후 호흡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 때 폐포액의 흡수가 지연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며 이 이유는 아직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다.
신생아 일과성 빠른호흡은 만삭아에서 1000명 당 3~6명 가량 발생한다. 위험인자로는 남아, 조산아, 쌍태아, 당뇨 임신부 또는 진통 없이 시행된 제왕절개로 출생한 신생아 등이 있다.
증상 및 진단
신생아에게 보이는 전형적인 증상은 출생 직후부터 나타나는 60회 이상의 빠른 호흡, 흉부 함몰, 호기 시 그렁거림이 주로 보이고 청색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동맥혈 가스 검사에서는 저산소증과 고이산화탄소혈증, 산혈증이 보일 수 있지만 대게 경미하며 40% 이하의 산소 공급으로 교정이 가능하다.
보통 출생 24시간 이내에 증상이 호전되기 시작하고 72시간 이내에 거의 모든 증상이 호전되지만 기계적 환기 요법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RDS), 신생아 폐렴, 흡인성 증후군 및 심성 폐부종(cardiac origin) 등을 꼭 감별해야 한다.
흉부 xray에서는 양측 폐문부의 sunburst pattern, 폐 말단의 air trapping이 관찰되고 경한 심비대가 보일수 있다.
치료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면서 필요 시 산소 공급을 해 주는 것만으로 회복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양압 환기가 필요할 때도 있다.
'소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로바이러스 장염의 증상, 치료 (0) | 2024.01.17 |
---|---|
백일해의 증상, 치료, 합병증 / whooping cough (0) | 2023.11.13 |
마이코플라즈마 감염, 폐렴의 증상과 진단, 치료 (0) | 2023.09.16 |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증상과 치료 (0) | 2023.09.13 |
영아 혈관종의 특징과 검사, 약물 치료 (0) | 202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