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설명하는 알기 쉬운, 도움이 되는 의학 지식
소아

신생아 황달 발생 시기와 검사, 치료

by little-pediatrician 2023. 7. 29.
반응형

신생아 황달이란 

신생아 황달이란 황달수치(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높아 피부 및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보이는 상태이다. 고빌리루빈혈증 이라고도 한다.

황달의 진행 방향은 머리에서 다리 쪽이기 때문에 아이의 무릎 아래나 손에도 황달이 나타난다면 황달수치가 높을 수 있다.

신생아중환자실(NICU)에 입원하는 아이들 중 신생아 황달로 치료를 받는 아이들이 많다. 미숙아로 태어나 입원치료를 받는 아이들 중 거의 대부분의 아이들이 퇴원 전까지 황달치료를 한 번은 받는 것 같다. 

집이나 조리원에서 지내던 중 황달이 있어 외래를 통해 입원하는 아이들도 있다. 건강하게 태어난 아이들도 수유량이 부족하거나, 흡입 출산 (바큠, vacuum extraction)으로 두혈종이 생긴 경우에도 황달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다.

신생아 황달이라고 해서 무조건 입원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치료가 꼭 필요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쉽게 할 수 있는 검사는 피부를 통해 하는 경피검사가 있으며 실제 혈액으로 검사한 것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황달의 발생 시기

신생아 황달은 출생 후 언제 발생하느냐에 따라서 나눠볼 수 있다.

생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태아적아구증 (Rh, ABO 혈액형 부적합), 패혈증, 선천성 바이러스 감염 등이 원인일 수 있다. 생후 2~3일에 발생하는 경우는 생리적 황달이 대부분이며 드물게 Crigler-Najjar syndrome 등의 질병이 원인이다. 생후 4~7일에 발생하는 경우는 패혈증, 감염이 원인인 경우가 많고 생후 1주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는 패혈증, 담도폐쇄, 간염, 모유황달, galactosemia 등이 있다.

신생아 황달의 발생 시기로만 원인을 추정하는 것은 불확실하지만 조금 더 가능한 원인에 촛점을 둘 수 있어서 발생 시기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필요한 검사

신생아 황달은 원인에 따라 치료가 달라지기 때문에 적절한 검사가 필요하다.

환자는 신생아이지만 대부분 산모에게서 영향을 많이 받은 나이이기 때문에 신생아의 상태와 신생아의 병력뿐만 아니라 산모의 병력과 약물력도 알아야 한다. 그리고 모유수유 여부와 더불어 수유량이 충분한가에 대해서도 자세한 문진이 필요하다.

신생아의 경우 출생력(미숙아인지, 처체중출생아인지)을 알아야 하고 감염 여부와 출혈(두혈종, 숨겨진 출혈) 등을 확인해야 한다. 앞서 말했듯이 흡입 출산의 여부도 확인하면 좋다.

진단적 검사로는 산모와 신생아의 혈액형을 확인하고, 신생아의 빌리루빈(total bilirubin, direct bilirubin), 전혈구검사(CBC, complete blood count), 망상적혈구(reticulocyte), coombs' test, 알부민(albumin) 수치 등을 확인한다.



황달 치료

신생아 황달의 치료는 단순히 황달 수치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신생아의 재태주령과 몸무게, 위험요인, 출생시간이 얼마나 지났느냐 등 여러 가지 요인을 따져서 결정한다. 아래 그래프와 같은 치료기준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출생 후 48시간이 지난 시점에 혈청 총빌리루빈이 13인 아이가 있는데, 38주 0일에 정상체중아로 태어난 신생아의 경우라면 그래프의 가장 위에 해당하는 아이(Infants at lower risk)이기 때문에 굳이 입원치료를 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35주 3일에 출생했고 혈청 알부민 수치가 2.5로 낮은 아이라면 그래프의 가장 아래에 해당하는 아이(Infants at higher risk)이기 때문에 입원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치료 방법으로는 광선치료, 약물요법, 교환수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재태주령 35주 이상 신생아 광선치료 가이드라인
재태주령 35주 이상 신생아 광선치료 가이드라인

광선치료의 경우 특정 파장을 가진 빛 (430~490nm 파장을 가진 blue-green spectrum light)을 아이 피부의 최대한 넓은 부위에 조사한다. 이때 광선에 의해 빌리루빈이 배설이 쉽도록 변하게 된다.

황달수치가 너무 높거나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는 약물요법, 교환수혈을 시행한다.

 

병적 황달

광선치료로 좋아지는 황달도 많지만 항상 주의해야 하는 황달 (병적 황달)이 있다.

  1. 24시간 이내에 발생한 황달
  2. 광선치료 이상의 치료가 필요한 황달
  3. 0.2mg/dL/hr 이상의 속도로 증가하는 경우
  4. 구토, 기면, 수유곤란, 비정상적 체중감소, 무호흡, 빈맥 등을 동반하는 경우
  5. 길게 지속되는 황달 (만삭아 8일, 미숙아 14일 이상)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광선치료를 받는 아이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광선치료를 받는 아이

 

 

 

reference) 신생아진료지침 3판,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49, No.1,2006

 

※ 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하였으나 주관적인 내용 또한 포함되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