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설명하는 알기 쉬운, 도움이 되는 의학 지식
소아

분유와 모유의 차이점, 특수 분유 종류

by little-pediatrician 2023. 8. 9.
반응형

분유 수유는 인공영양의 한 종류이다. 인공영양은 모유를 대신하는 음식물을 말하며 우유나 콩 혹은 육류로 만든 음식물이다. 최근에는 모유와 비슷하도록 조제된 분유가 시중에 잘 나와 있어서 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생후 4~6개월까지 먹일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생후 6개월에서 1년까지의 영아를 대상으로 한 조제분유도 나와있다. 일반 분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분유는 영아조제분유(infant formula)이며 이유기나 유아기에 사용되는 분유는 성장기 조제분유(follow-up formula)라고 한다. 아래 설명하는 분유는 영아조제분유이다.

모유 수유가 영양학 적인 측면에서 부족함이 없어 권장되고 있지만 모유 수유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조제 우유가 모유와 비슷하게 생산되기 때문에 걱정 없이 분유 수유를 할 수 있다.

 

분유 조제

분유의 농도를 잘 맞추어 수유하는 것이 좋다. 분유 회사별로 스푼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유의하며 조제한다. 대부분 13~14%의 조유 농도를 권장하며 에너지는 모유와 같이 100ml 당 66~70kcal의 열량을 가진다.

분유 보관

개봉한 액상 분유나 이미 만든 분유는 냉장고에 48시간 이상 보관하면 안된다. 파우더 형태의 분유는 건조하고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개봉한 파우더 형태의 분유는 4주 이내에 소비해야 한다. 먹다 남은 분유는 반드시 버린다.

수유 방법과 간격, 적절한 수유양

수유하는 방법과 간격은 분유 수유라고 해서 모유 수유와 크게 다르지 않다.

아이가 깨어 있는 상태에서 상체가 세워진 자세로 수유한다. 젖병의 구멍은 분유가 서서히 나올 수 있는 크기가 좋다. 수유하는 동안 젖병을 손으로 잡고 있어야 기도 흡인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수유 시 공기가 아기 입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과도한 공기가 들어갈 경우 수유 후 역류 현상과 복통이 발생할 수 있다. 수유 시간은 5~25분이 적당하다.

생후 2개월 까지는 3~4시간 간격으로 하루 6~7회 수유하고, 생후 2~4개월에는 4시간 간격으로 5~6회, 생후 4~6개월에는 하루 4~5회 수유한다. 하지만 모든 아이의 수유 간격이 같을 수 없다. 아이마다 다르지만 어느 정도 규칙적인 시간을 정해서 먹이는 것을 추천한다.

아이가 만족할 만큼 먹고 젖병을 빨지 않으면 그대로 수유를 멈추어도 된다. 정해진 만큼 다 먹지 않아 억지로 다 수유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1회 수유 시 분유량은 최대 240ml, 하루 분유 총량은 1000ml를 넘지 않도록 먹이는 것이 좋다. 수유량이 충분한지 판단하는 기본적인 기준은 아이의 기분이 좋고 만족해하며 체중이 충분히 증가한다는 지표이다.

수유 시 유의점

냉장 보관한 분유는 화상의 위험이 있어 전자레인지에서 데우면 안 된다.

수유를 하는 동안 아이가 적절하게 자라고 과도하게 땀을 흘리는 등의 상황에 노출된 것이 아니라면 추가적인 수분 섭취는 필요 없다.

생후 4~6개월이 되면 이유기 보충식을 시작하며 생우유는 생후 12개월 이후에 추천된다. 그전에 생우유를 먹이게 되면 철의 함유량 부족과 장을 통한 혈액 소실로 인해 철 결핍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유와 분유의 차이점

모유 성분에 대해 이야기할 때 가장 많이 비교되는 초유는 임신 후반기부터 출산 후 2~4일, 길면 1주일 까지 나오는 모유이다. 초유는 짙은 레몬색이나 노란색을 띠며 하루 10~40ml 분비된다. 이후 분비되는 모유에 비해서 단백질, 칼슘, 무기질의 함유량이 높고 면역학적 성분들이 많이 들어있으며 탄수화물과 지방은 적다.

일반 분유는 모유와 비슷하게 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제품인 만큼 모유와 비슷한 점이 많다. 시간이 지날수록 분유의 구성이 개선되어 영양소 면에서는 모유에 비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하지만 모유에는 영양소뿐만 아니라 면역 물질, 효소, 단백질, 호르몬 등 대체할 수 없는 성분이 있기 때문에 완벽히 같다고 할 수는 없다.

 

특수 분유, 특수 조제분유

일반 조제분유를 섭취할 경우 위장관 장애를 일으키거나 대사 장애를 가지고 있는 영아의 경우에는 특수한 조성과 성분을 가지고 있는 특수 조제분유가 필요하다. 급성 설사 분유, 대두 단백 분유, 저 알레르기 분유(유단백 가수분해 분유), 무유당 분유, 조산아 분유, MCT 분유, 저인산 분유, 선천 대사 이상 질환용 분유 등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급성 설사 분유에는 유당이 제한되어 있고 유청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 병원성 장내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철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시 아이의 영양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감염성 장염이 걸린 후 발생하는 일시적 2 차성 유당 불내증의 경우 1~2일 미만의 단기간 섭취를 권장한다.

대두 단백 분유(Soy formula)는 영양학적으로 일반 조제분유에 비해 더 좋은 점은 없으며 유당 분해 효소 부족증이나 갈락토스혈증 등에서 사용한다.

저 알레르기분유(Hypoallergenic formula)는 유단백가수분해 분유라고도 불리며 우유 단백을 가수분해한 단백 가수분해물이 포함되어 있는 분유이다. 쉽게 말해서 예비 소화된 분유라고 할 수 있다. 우유 단백 알레르기가 있거나 갈락토스혈증 아이에게 이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가격이 비싸며 맛이 없는 것이 단점이다.

 

모유수유의 장점과 유의점
https://www.babydocstory.com/entry/%EB%AA%A8%EC%9C%A0-%EC%88%98%EC%9C%A0%EC%9D%98-%EC%9E%A5%EC%A0%90%EA%B3%BC-%EC%9C%A0%EC%9D%98%EC%A0%90
 

모유 수유의 장점과 유의점

많은 보호자들은 모유 수유에 대해 많은 궁금증을 가지고 있다. 분유가 없던 시절이라면 아무 고민 없이 모유 수유를 했겠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분유로 모유를 대체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이

www.babydocstory.com

 

 

분유수유하는 아기
분유 수유

reference) 홍창의 소아과학 12판

반응형